search for




 

Immunization Status of the 23-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 among Elderly Aged 65 and Older in South Korea
Yakhak Hoeji 2023;67(4):277-284
Published online August 31, 2023
© 2023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Jeong Ah Kim*, Heehyun Won*, Na-Young Jeong*, and Nam-Kyong Choi*,**,#

*Department of Health Convergence, College of Science and Industry Convergence,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Pharmaceutical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Nam-Kyong Choi, Department of Health Convergence, College of Science and Industry Convergence, Ewha Womans University, 52 Ewhayeodae-gil, Seodaemun-gu, Seoul 03760, South Korea
Tel: +82-2-3277-6585, Fax: +82-2-3277-2867
E-mail: nchoi@ewha.ac.kr
Received July 6, 2023; Revised August 12, 2023; Accepted August 31, 2023.
Abstract
The 23-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 (PPSV23) was introduced as part of Korea's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NIP) in May 2013 for people aged 65 years and older. We aimed to describe the immunization status of Korean elderly aged 65 years and older who had received a first dose of PPSV23 via the NIP and to analyze the cumulative PPSV23 vaccination coverage rates.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Korea Immunization Registry Information System. The study included adults aged 65 years and older who received at least one dose of PPSV23 between May 1, 2013, and December 31, 2020. During the study period, 6,705,624 elderly individuals received PPSV23, with 198,236 receiving it concurrently with other vaccines on the same day, most commonly with the influenza vaccine (n=175,118, 88.3%). Although the cumulative PPSV23 vaccination coverage rates for people aged 65 years and older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instances of non-adherence to the minimum intervals between pneumococcal vaccines have been observed. Therefore, education and promotion programs aimed at healthcare providers and the general public are needed to increase awareness. Furthermore, ongoing research on PPSV23 vaccination status for individuals aged 65 years and older and people at high risk for pneumococcal infection should be conducted.
Keywords : Immunization, PPSV23, Pneumococcal vaccination,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서 론(Introduction)

폐렴은 2021년 국내 사망 원인 3위를 차지하고 있는 질환이다.1) 폐렴의 발생 원인 중 세균 감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세균성 폐렴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이다.2) 폐렴구균에 의한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증(균혈증을 동반한 폐렴, 뇌수막염, 심내막염 등)은 2세 미만 소아 및 65세 이상 노인에서 발생빈도가 높으며3), 국내 성인에서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증에 의한 사망률은 높게 관찰된다.4) 특히 노인에서 폐렴구균에 의한 균혈증이 발생할 경우 사망률은 60%이고, 수막염일 경우 사망률은 80%에 이른다.5)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폐렴구균으로 인한 이환의 부담을 줄일 수 있어 환자의 보호와 공중보건학적 차원에서 중요하다. 또한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폐렴구균 폐렴뿐만 아니라, 패혈증이나 수막염과 같은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6-8)에도 효과가 있다. 이처럼 폐렴구균 예방접종의 효과를 주장하는 여러 연구가 보고되면서 중요성이 대두되었고, 정부는 노인에서 폐렴구균에 의한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증을 예방하여 질병부담 감소 및 건강한 생애를 연장하고자 2013년 5월부터 국내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폐렴구균 23가 다당질 백신(23-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 PPSV23)을 1회 무료 접종하는 국가예방접종사업(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NIP)을 시행하고 있다.

국내 예방접종 권고안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지침에 따르면 건강한 65세 이상 연령에서 PPSV23 1회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이전에 폐렴구균 백신 접종력이 없는 65세 이상의 면역저하, 무비증, 뇌척수액 누출, 인공와우 이식 상태자의 경우 폐렴구균 13가 단백결합 백신(13-valent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PCV13)접종 후 최소 8주 이상의 간격으로 PPSV23을 순차적으로 접종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9) 일반적으로 정상면역 상태의 65세 이상 노인에게는 PPSV23 예방접종 후 PCV13 접종은 권고되지 않으나, PPSV23 예방접종 후 PCV13 추가접종 시 1년 이상의 간격을 두고 접종하여야 한다. 또한 65세 이상 연령에서 PPSV23을 처음 접종하였으면 PPSV23 추가접종이 권고되지 않으나,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 면역기능이 저하된 질환을 가진 사람의 경우 첫 번째 PPSV23 예방접종으로부터 5년 이상 간격을 두고 재접종하여야 한다. 예방접종 시 최소 접종간격보다 짧은 간격으로 접종하면 면역 반응이 불충분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크며, 최소 접종간격보다 5일 이상 이른 접종은 무효로 간주하여 재접종이 필요하다. 따라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예방접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예방접종의 권장사항을 잘 준수하여야 한다.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폐렴구균 예방접종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몇 가지 사항을 확인하고 개선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PPSV23 예방접종 후 PPSV23 또는 PCV13을 추가접종 하는 경우 최소 접종간격을 준수하였는지, PPSV23을 접종받은 날 동시접종한 백신에는 무엇이 있는지, 65세 이상 노인에게 충분한 PPSV23 예방접종이 이루어졌는지 등 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PPSV23 국가예방접종사업이 시작된 이후 국내에서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PPSV23 예방접종 현황과 65세 이상 인구의 누적 예방접종률에 대해 보고된 자료는 미흡하여 전체적인 특징 및 현황을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어르신 폐렴구균 예방접종사업이 시작된 2013년 5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에서 PPSV23 예방접종 현황과 누적 예방접종률을 파악하고자 한다.

방 법(Methods)

연구자료 및 대상

본 연구는 2013년 5월 1일부터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시작된 PPSV23 예방접종 현황과 누적 예방접종률을 파악하기 위하여 질병관리청 예방접종통합관리시스템(Immunization Registry Information System) 예방접종등록자료를 이용한 기술적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013년 5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관찰된 첫 번째 PPSV23 접종 기록 당시 65세 이상인 노인이며, 2013년 5월 1일 전에 PPSV23을 접종한자, 처음으로 PPSV23을 접종한 연령이 65세 미만인 자, 결측값이 있는 자는 제외하였다. 질병관리청에서는 2000년 6월부터 예방접종서비스의 질적 향상, 기록과 감시, 평가 및 연구 등을 목적으로 피접종자(환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접종시기, 접종백신 등 예방접종 관련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관리하는 예방접종등록사업을 추진하여 예방접종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안전한 접종을 적기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10)

본 연구에서 예방접종등록자료 내 환자 개인정보는 비식별화되었으며, 환자의 정보가 담긴 인적정보, 예방접종과 관련된 접종정보, 보건의료기관의 정보가 담긴 기관정보를 이용하였다. 인적정보 변수로 성별, 생년월일, 연령을 이용하였고, 접종정보 관련 변수로는 접종일자, 접종기관 지역, 접종코드(종류)를 이용하였다. 연령은 2013년 5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 사이 처음 PPSV23을 접종받았을 때의 연령이며, 65-69세, 70-74세, 75-79세, 80세 이상의 4개 군으로 구분하였다. 접종기관 지역에 따른 예방접종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지역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PPSV23 예방접종 후 PPSV23을 추가접종 하는 경우 최소 접종간격을 지키지 않은 자를 확인하고자 2013년 5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처음 PPSV23을 접종한 자 중 5년 이내에 PPSV23을 추가접종한 자에 대해서 1년 미만, 1년 이상 3년 미만, 3년 이상 5년 미만으로 구분하여 파악하였다. 또한, 2013년 5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처음 PPSV23을 접종한 자가 1년 이내에 PCV13을 추가접종 하였는지 파악하기 위해, 3개월 미만, 3개월 이상 9개월 미만, 9개월 이상 1년 미만으로 구분하였다.

통계분석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동시접종 관련 특성, PPSV23 예방접종 후 폐렴구균 백신 추가접종까지의 간격은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의 PPSV23 누적 예방접종률은 예방접종등록자료의 각 연도별 12월 말 기준 사망자를 제외한 누적 접종자를 분자로 행정안전부의 각 연도별 주민등록상 65세 이상 인구수를 분모로 두어 산출하였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자료에는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현황, 연령별 인구현황, 주민등록 인구 기타현황 등을 제공한다. 통계분석은 SAS Enterprise Guide 7.1 통계프로그램(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을 이용하였으며, 그래프의 시각화는 R version 4.2.2의 ggplot2 version 3.4.2 package를 사용하여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연구심의위원회의 심의면제(IRB No.: ewha-202304-0024)를 받아 진행하였다.

결 과(Results)

PPSV23 접종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는 2013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PPSV23 접종기록이 한 번이라도 있는 65세 이상 노인 중 제외기준에 해당하는 자를 제외 후 6,705,624명을 최종 분석 대상자로 선정하였다(Fig. 1). 연구대상자 중 여성이 56.0%(3,757,971명)로 남성(2,947,653명, 44.0%)보다 더 많았다. 연령별 분포를 살펴보면 65-69세가 52.0%(3,489,954명)로 가장 많았고, 70-74세 21.4%(1,432,579명), 75-79세 15.2%(1,018,605명), 80세 이상 11.4%(764,486명)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가 연구기간 내 처음으로 PPSV23을 접종한 연도는 2013년에 37.1%(2,488,053명)로 가장 많았고, 이어 2014년(944,355명, 14.1%), 2020년(800,824명, 11.9%), 2015년(673,530명, 10.0%)에 많았다. 접종기관 지역은 경기가 19.6%(1,314,913명)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서울(1,138,198명, 17.0%)과 부산(532,200명, 7.9%) 순으로 나타났다(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PSV23 recipients whose vaccination records were reported to the Korea Immunization Registry Information System, 2013-2020

Characteristics N %
Total 6,705,624 100.0
Gender
Male 2,947,653 44.0
Female 3,757,971 56.0
Age at the time of first PPSV23 vaccination (mean 70.89, SD 6.39)
65-69 3,489,954 52.0
70-74 1,432,579 21.4
75-79 1,018,605 15.2
≥80 764,486 11.4
Year of first PPSV23 vaccination
2013 2,488,053 37.1
2014 944,355 14.1
2015 673,530 10.0
2016 441,240 6.6
2017 522,166 7.8
2018 274,853 4.1
2019 560,603 8.4
2020 800,824 11.9
Region of first PPSV23 vaccination institution
Seoul 1,138,198 17.0
Busan 532,200 7.9
Daegu 280,372 4.2
Incheon 311,588 4.6
Gwangju 160,408 2.4
Daejeon 161,118 2.4
Ulsan 115,881 1.7
Sejong 22,878 0.3
Gyeonggi 1,314,913 19.6
Gangwon 273,123 4.1
Chungbuk 254,821 3.8
Chungnam 353,025 5.3
Jeonbuk 345,455 5.2
Jeonnam 392,891 5.9
Gyeongbuk 484,579 7.2
Gyeongnam 474,101 7.1
Jeju 90,073 1.3

PPSV23, 23-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 SD, standard deviation.





Fig. 1. Flow chart of study population selection.

PPSV23의 연도별 월별 접종 현황

각 연도별 월별 PPSV23 예방접종 현황을 살펴보면 2013년에는 5월(458,437명, 18.4%)과 6월(458,951명, 18.5%)에 접종 건수가 많았고, 11월(958,669명, 38.5%)에 가장 많이 접종하였다. 2014년에는 8월 이후에 접종 건수가 증가하였다. 2015~2016년에는 11월에 각각 11.6%(78,178명), 12.6%(55,444명)로 가장 많이 접종하였다. 2017년에는 2월에 10.8%(56,277명)로 가장 많이 접종하였으며, 2018년에는 10월에 14.4%(39,540명)로 가장 많이 접종하였다. 2019년에는 5월(66,241명, 11.8%)에 가장 많이 접종하였다. 2020년에는 6월(153,133명, 19.1%)과 7월(236,446명, 29.5%)에 접종 건수가 크게 증가하였다(Fig. 2).



Fig. 2. Monthly of first PPSV23 vaccination status for elderly in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by year. The bar graph illustrates the number of individuals who received their first PPSV23 vaccination. The line graph illustrates the percentage of monthly first PPSV23 vaccination for each year from 2013 to 2020. The calculation of the percentage involves using the number of PPSV23 vaccination per month as the numerator, while the denominator comprises the total number of PPSV23 vaccination within the corresponding year, ranging from January to December.

첫 PPSV23 접종 시 동시접종 백신 유형

처음 PPSV23을 접종한 날에 다른 백신과 동시접종한 자는 총 198,236명이었다. PPSV23을 포함해 총 2개의 백신을 동시접종한 자는 197,808명, 3개의 백신을 동시접종한 자는 398명, 4개의 백신을 동시접종한 자는 27명, 5개의 백신을 동시접종한 자는 3명이었다. 같은 날 PPSV23과 가장 많이 동시접종한 백신은 인플루엔자 백신(175,118명, 88.3%)이었으며, 이어 신증후군출혈열 백신(10,732명, 5.4%), 대상포진 백신(5,095명, 2.6%), B형 간염 백신(3,471명, 1.8%), Tdap(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일해) 백신(1,163명, 0.6%) 순으로 나타났다(Table 2).

Top five vaccines administrated concomitantly with the first PPSV23 on the same day

N %
Only PPSV23 vaccination 6,507,388 97.0
Concomitant vaccination 198,236 3.0
Vaccine type
Influenza (Flu) 175,118 88.3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HFRS) 10,732 5.4
Herpes zoster (HZV) 5,095 2.6
Hepatitis B (HepB) 3,471 1.8
Tetanus, Diphtheria, Pertussis (Tdap) 1,163 0.6

PPSV23, 23-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



폐렴구균 백신 추가접종 시 최소 접종간격 미준수 현황

2013년 5월부터 2015년 12월 사이에 처음 PPSV23을 접종한자(n=4,105,938) 중 5년 내 PPSV23을 추가접종한 자는 8,653명(0.2%)이었다. 그중 1년 미만 간격을 유지하여 접종한 경우가 44.3%로 가장 많았고, 1년 이상 3년 미만 38.3%, 3년 이상 5년 미만 17.4% 순으로 나타났다. 2013년 5월부터 2019년 12월 사이에 처음 PPSV23을 접종한 자(n=5,904,800) 중 1년 내 PCV13을 추가접종한 자는 13,631명(0.2%)이었다. 그중 9개월 이상 1년 미만 간격을 유지하여 접종한 경우가 53.0%로 가장 많았고, 3개월 이상 9개월 미만(40.0%), 3개월 미만(7.0%) 순으로 나타났다(Table 3).

Individuals of non-adherence to the minimum intervals between pneumococcal vaccines

PPSV23 followed by PPSV23a (n=4,105,938) PPSV23 followed by PCV13b (n=5,904,800)
n % n %
Non-adherent patients 8,653 0.2 Non-adherent patients 13,631 0.2
Interval Interval
<1 year 3,831 44.3 <3 months 951 7.0
1-3 years 3,319 38.3 3-9 months 5,456 40.0
3-5 years 1,503 17.4 9-12 months 7,224 53.0

PPSV23, 23-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 PCV13, 13-valent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aWe followed up 4,105,938 people aged 65 years and older who received the PPSV23 between May 2013 and December 2015 to see if they received a booster dose of PPSV23 within 5-year period

bWe followed up 5,904,800 people aged 65 years and older who received the PPSV23 between May 2013 and December 2019 to see if they received a booster dose of PCV13 within 1-year period



국내 65세 이상 노인의 PPSV23 누적 예방접종률

국내 65세 이상 노인의 PPSV23 누적 예방접종률을 살펴보면 2013년에는 12월 말 기준 사망자를 제외한 2,476,617건이 접종되었으며, 2013년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상 65세 이상 인구수 대비 39.6%의 노인이 어르신 폐렴구균 예방접종사업을 통해 접종되었다. 2014년에는 65세 이상 인구수 대비 PPSV23 누적 예방접종률이 52.4%, 2015년에는 60.3%, 2016년에는 64.6%, 2017년에는 68.6%, 2018년에는 69.5%, 2019년에는 73.2%, 2020년에는 78.5%(누적: 6,671,805건)로 지속적으로 65세 이상 노인의 PPSV23 누적 예방접종률이 향상되었다(Table 4).

Number of PPSV23 vaccinations by year

Year No. of population No. of vaccinated Cumulative vaccine coverage of adults aged ≥65 (%)
≥65 yrs ≥65 yrs Cum. no. of vaccinateda
2013 6,250,986 2,476,617 2,476,617 39.6
2014 6,520,607 939,093 3,415,710 52.4
2015 6,775,101 666,359 4,082,069 60.3
2016 6,995,652 440,007 4,522,076 64.6
2017 7,356,106 520,816 5,042,892 68.6
2018 7,650,408 274,208 5,317,100 69.5
2019 8,026,915 559,375 5,876,475 73.2
2020 8,496,077 795,330 6,671,805 78.5

PPSV23, 23-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

aThe cumulative immunization recipients of PPSV23 for the people aged 65 years and older exclude deaths as of the end of December for each year from the Korea Immunization Registry Information System data


고 찰(Discussion)

본 연구는 2020년 기준으로 65세 이상 인구(약 850만명) 대비 78.5%의 노인이 어르신 폐렴구균 예방접종 사업을 통해 PPSV23을 접종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2013년 5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 사이에 PPSV23을 한 번이라도 접종한 65세 이상 노인은 총 6,705,624명이었다. 연령별 분포를 살펴보면 65-69세가 가장 많았다. 이는 노인 폐렴구균 예방접종사업 시행 초기 3년 동안(2013-2015년) 65세 이상 연령을 대상으로 예방접종을 시행하고, 2016년부터는 65세 진입 연령을 대상으로 추진하여11)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2013년에는 어르신 폐렴구균 예방접종사업이 시작된 5~6월과 접종대상 연령이 65세 이상으로 확대되는 시기인 11월에 접종량이 가장 많았다. 2014년에는 8월 1일부터 주민등록 주소지와 실제 거주지가 다른 경우 주민등록상의 주소지 보건소까지 재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가까운 보건소 어디서든 접종할 수 있도록 사업 운영계획을 변경한 이후11) 접종량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2020년에는 6~7월에 접종량이 가장 많았는데, 이는 2020년 6월 22일부터 고위험군 어르신 건강보호와 코로나19 2차 대유행 대비를 위해 접종장소를 보건소뿐만 아니라 민간 의료기관까지 확대하여 접종량이 증가한 것으로 생각된다.

PPSV23은 다른 약독화 생백신 및 불활성화 백신과 동시접종이 가능하며, 첫 PPSV23을 접종한 날에 가장 많이 동시접종한 백신은 인플루엔자 백신이었다. 인플루엔자 백신은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국가예방접종사업 총 2종에 PPSV23과 함께 포함되어 있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사업을 위해 구축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등록시스템에는 폐렴구균 접종 여부가 함께 표기되어 미접종자로 확인되었을 때 인플루엔자 백신과 동시접종할 수 있도록 하여11) 인플루엔자 백신과 PPSV23을 동시에 접종한 자가 가장 많이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대상포진 백신의 경우 대상포진 백신 제품설명서에 PPSV23과의 동시접종은 금지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 이는 초기 면역원성 평가에서 동시접종군의 경우 1개월 간격을 두고 접종한 경우에 비해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역가가 낮게 나온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 연구에서 근거 없음이 확인되었고 미국 예방접종전문위원회(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에서도 동시접종에 문제가 없음을 발표하였다. 따라서, 대상포진 백신과 PPSV23 모두 접종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동시접종이 가능하나12), 아직 국내에서 PPSV23과 대상포진 백신의 동시접종에 대한 식약처 허가사항에는 변동이 없다. 국내외 예방접종 관리지침에 따르면 PPSV23과 PCV13을 같은 날 동시접종하는 것은 금기이다.9) 하지만 본 연구에서 첫 PPSV23을 접종한 날에 PCV13을 동시에 접종한 자가 22명, PPSV23과 PPSV23을 동시접종한 자는 19명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백신 접종의 금기사항은 백신 접종으로 인해 심각한 이상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예방접종 관리지침에 따라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받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질병관리청 지침에 따르면 65세 이상 연령에서 PPSV23을 접종한 경우 더 이상의 추가접종을 권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PPSV23 예방접종 후 생성된 항체는 대개 5년 이상 지속되지만,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더 빨리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성인에서 폐렴구균 백신 예방접종 전략은 기저질환의 중증도를 고려해 개별화하여 접종권고안에 따라 예방접종 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PPSV23 예방접종 후 폐렴구균 백신을 추가 접종한 자가 최소 접종간격보다 짧은 간격으로 접종한 경우 충분한 면역 반응이 유발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재접종이 필요하다. 따라서 권장되는 접종간격을 지켰을 때 가장 적절한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폐렴구균 백신 추가접종 시 최소 접종간격을 지키지 않은 자에 대해 파악하였다. PPSV23 예방접종 후 5년 내 PPSV23을 추가접종한 자 중 1년 미만 접종간격을 유지하여 접종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PPSV23 예방접종 후 1년 내 PCV13을 추가 접종한 자 중 9개월 이상 1년 미만 간격을 유지하여 접종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최소 접종간격을 잘 준수하여 예방접종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폐렴구균 백신의 추가접종이 필요한 개인에게 최소 접종간격을 잘 준수하도록 일반인과 의료진을 대상으로 교육 및 홍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PPSV23과 PCV13은 중증도가 심한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에 예방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고, 균혈증을 동반한 폐렴에도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기에 지침에 따라 PPSV23과 PCV13의 예방접종을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13)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의 PPSV23의 누적 예방접종률은 2013년 39.6%에서 2020년 78.5%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미국 69.5%,14) 영국 70.6%15) 보다 높아 국내 65세 이상의 노인의 폐렴구균 예방접종률이 외국에 비해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 국가예방접종사업 이전 65세 이상 노인의 폐렴구균 예방접종률은 2007년 3.4%, 2012년 15.4%로 낮은 수준이었다.16) 그러나 최근 보건소를 비롯한 전 의료기관에서 국가예방접종 보급이 확대되고, 노인인구 증가에 따른 건강에 관한 관심 및 백신에 대한 인식 변화로 PPSV23 접종률이 상승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장점은 어르신 폐렴구균 예방접종사업이 시작된 날부터 최근까지 노인에서의 PPSV23 예방접종 현황과 누적 예방접종률을 우리나라 전 국민의 국가예방접종사업 대상 백신 접종기록이 포함된 대표성이 높은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질병관리청 예방접종통합관리시스템 자료에는 모든 국가예방접종사업 대상 백신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도록 하나, 각 의료기관의 보고가 일부 누락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어르신 폐렴구균 예방접종사업 시작 이전의 PPSV23 접종 현황을 파악할 수 없어 예방접종률이 과소 추정되었을 수 있다.

결 론(Conclusion)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증 예방 및 질병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해 폐렴구균 예방접종사업 수행은 중요하다. 효과적인 예방접종사업이 되기 위해서는 예방접종 추진현황과 관련 내용을 파악하여 그 결과를 정책 수립 및 사업 방향에 반영하여야 한다. 예방접종률은 국가예방접종사업의 성과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서, 접종률 결과에 따라 사업의 문제점을 발견하여 대응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최근 8년간 국내 폐렴구균 예방접종 권장대상인 65세 이상 노인의 PPSV23 누적 예방접종률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하지만, PPSV23 예방접종 후 폐렴구균 백신 추가접종 시 최소 접종간격을 잘 준수하지 않은 경우가 있어, 이에 대한 인식을 향상하기 위해 의료인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교육 및 홍보 사업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노인의 PPSV23 예방접종 현황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폐렴구균 감염 고위험군의 예방접종 권고안에 따른 예방접종률에 대한 추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감사의 말씀(Acknowledgment)

본 연구는 대한민국 정부의 재원으로 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 연구개발사업 지원(과제 고유번호: HG18C0067)과 2023년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용역과제예산(과제 고유번호: 22183감염선433)으로 수행되었으며 이에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Conflict of Interest

모든 저자는 이해 상충을 가지고 있지 않음을 선언한다.

References
  1. Statistics Korea (2022)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 2021.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60200&bid=218&act=view&list_no=420715. Accessed 29 March, 2023.
  2. Lee SY, Suh SR (2016) Coverage rat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vaccination in adult recommended pneumococcal vaccine. J Health Info Stat 41(2): 231-238.
    CrossRef
  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Active Bacterial Core Surveillance (ABCs) Report Emerging Infections Program Network Streptococcus pneumoniae, 2015. https://www.cdc.gov/abcs/reports-findings/survreports/spneu15.pdf. Accessed 8 April, 2023.
  4. Song JY, Choi JY, Lee JS, Bae IG, Kim YK, Sohn JW, Cheong HJ (2013) Clinical and economic burden of invasive pneumococcal disease in adults: a multicenter hospital-based study. BMC Infect Dis 13(1): 1-9.
    Pubmed KoreaMed CrossRef
  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Pneumococcal Disease. In: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Vaccine-Preventable Diseases. Atkinson W, Wolfe C, Hamborsky J, eds. 12th ed. Washinton DC. USA.
  6. Moberley S, Holden J, Tatham DP, Andrews RM (2013) Vaccines for preventing pneumococcal infection in adults. Cochrane Database Syst Rev (1): CD000422.
    Pubmed KoreaMed CrossRef
  7. Musher DM, Rueda-Jaimes AM, Graviss EA, Rodriguez-Barradas MC (2006) Effect of pneumococcal vaccination: a comparison of vaccination rates in patients with bacteremic and nonbacteremic pneumococcal pneumonia. Clin Infect Dis 43(8): 1004-1008.
    Pubmed CrossRef
  8. Whitney CG, Farley MM, Hadler J, Harrison LH, Bennett NM, Lynfield R, Reingold A, Cieslak PR, Pilishvili T, Jackson D, Facklam RR, Jorgensen JH, Schuchat A (2003) Decline in invasive pneumococcal disease after the introduction of proteinpolysaccharide conjugate vaccine. N Engl J Med 348(18): 1737-1746.
    Pubmed CrossRef
  9. Matanock A, Lee G, Gierke R, Kobayashi M, Leidner A, Pilishvili T (2019) Use of 13-valent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and 23-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 among adults aged 65 years: updated recommendations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MMWR Morb Mortal Wkly Rep 68(46): 1069.
    Pubmed KoreaMed CrossRef
  10. Lee MS, Kim EY, Le e KS, Le e SG, Hong JY, Kim KY, Kim DK, Shin EC, Lee YK, Ki MS, Na BJ, Kim YT (2003)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for development of national immunization electronic registry in private clinical practice setting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7(2): 193-206.
  11. Kim ES, Park YJ, Park OK (2015) Elderly immunization program against invasive pneumococcal disease in Korea, 2014. Public Health Wkly Rep KCDC 7: 366-368.
  12. Shin HY, Yoo BW (2020) Updates of adult immunization in Korea. J Korean Med Assoc 63(2): 128-134.
    CrossRef
  13. Choi WS, Choi JH, Kwon KT, Seo K, Kim MA, Lee SO, Hong YJ, Lee JS, Song JY, Bang JH, Choi HJ, Choi YH, Lee DG, Cheong HJ (2015) Revised adult immunization guideline recommended by the Korean society of infectious diseases. Infect Chemother 47(1): 68-79.
    Pubmed KoreaMed CrossRef
  14. O’Halloran, Alissa C, Peng-jun Lu, Tamara Pilishvili (2015) Pneumococcal vaccination coverage among persons 65 years-United States, 2013. Vaccine 33(42): 5503-5506.
    Pubmed CrossRef
  15. UK Health Security Agency (2021) Pneum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 (PPV) coverage report, England, April 2020 to March 2021. Health Protection Report 15(19).
  16. Kim ES, Shin JK, Oh HK (2014) Elderly immunization program against invasive pneumococcal disease in Korea, 2013. Public Health Wkly Rep KCDC 7: 182-186.


October 2023, 67 (5)
Full Text(PDF) Free

Social Network Service
Services

Cited By Articles
  • CrossRef (0)